웹소캣 웹소캣은 기존 웹의 단방향 프로토콜인 http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오게 되었다. http는 요청(Request)과 응답(Response) 구조를 가진 단방향(Simplex) 동기(Synchronous) 프로토콜이다. 또한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아(Stateless), 매 요청이 독립적으로 진행된다. (이 부분은 대게 쿠키, 세션등으로 서버에서 처리) http는 서버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금까지 잘 사용되어 왔다. 하지만 이러한 특징 때문에 http에게 실시간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. http는 실시간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풀링, 롱풀링등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해 왔지만 프로토콜의 근본적인 문제 때문에 실시간성은 해결되기 힘든 문제였다. 풀링 : 서버에 주기적으로 요청을 보내 데이터가..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