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Git 시작하기

ㅈ현 2022. 6. 30. 22:16

git 설치 

  1. 공식 홈페이지에서 dmg 파일 설치
  2. 터미널을 이용해 설치

git 최초설정 

git config 
라는 도구로 설정 내용을 확인, 변경할 수 있고 git은 이 설정에 따라 동작한다. 이떄 사용하는 설정파일은 세가지다

  1. /etc/gitconfig 파일: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와 모든 저장소에 적용되는 설정이다. git config —-system 옵션으로 이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. (이 파일은 시스템 전체 설정파일이기 때문에 수정하려면 시스템의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.) 전체 시스템
  2. ~/.gitconfig, ~/.config/git/config 파일: 특정 사용자(즉 현재 사용자)에게만 적용되는 설정이다. git config —global 옵션으로 이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. 특정 사용자의 모든 저장소 설정에 적용된다. 특정호스트
  3. .git/config : 이 파일은 Git 디렉토리에 있고 특정 저장소(혹은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)에만 적용된다. —local 옵션을 사용하면 이 파일을 사용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. 하지만 기본적으로 이 옵션이 적용되어 있다. (당연히, 이 옵션을 적용하려면 Git 저장소인 디렉토리로 이동 한 후 적용할 수 있다.) 특정 저장소

설정은 3 -> 2 -> 1 순으로 진행된다.

git을 설치하고 가장 먼저해야하는 일은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하는 것이다. git은 커밋할 때마다 이 정보를 사용하고 한 번 커밋한 후에는 변경할 수 없다.
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유저이름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이메일
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[vi, nono, ...]
 

위에서부터 이름설정, 이메일 설정, 에디터 설정

SSH키 설정 

git에 접근할때 매번 로그인이 아닌, ssh키를 통해 인증할 수 있다.

우선 자신의 ssh키를 생성한다.

ssh-keygen
 
 

생성하고난 후,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가서 ssh키를 확인한다

id_rsa는 비밀키(절대 공개되면 안됨)
id_rsa.pub은 공개키로 이 키를 github에 등록시킨다.

cat id_rsa.pub
 
 

명령을 통해 공개키를 확인하고 복사한다.

github -> setting -> SSH and GPG 키 설정탭이 있다.

해당 탭으로 들어가, 우측 상단에 new ssh key 버튼을 눌러 등록한다.

등록이 완료되었으면, 등록이 완료된 호스트는 별다른 인증없이 git과 연결이 가능하다.